하워드의 전원 도시계획
전원도시 개념으로도 알려진 하워드의 시골 도시 계획은 1898년 하워드(E. Howard)에 의해 제안된 도시 계획 개념이다. 이 개념은 도시와 시골 생활의 이점을 결합하여 주민들에게 높은 삶의 질을 제공하는 새로운 종류의 도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 계획은 개방된 시골에 철도를 통해 인근 도시 중심지와 연결되는 일련의 자급 자족적인 "전원도시(Garden City)"를 만드는 것을 요구하였다. 그 도시들은 풍부한 녹색 공간, 야외, 그리고 자연에 대한 접근성과 함께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CH 01. 전원도시(Garden city)의 특징
하워드의 전원도시 계획은 크게 4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제한된 크기를 들 수 있다. 전원 도시들은 인구가 약 32,000명으로 상대적으로 작다. 이것은 도시가 공동체 의식을 유지하고 많은 도시 지역에서 흔한 과밀 문제를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다음으로 녹색 공간을 이야기 할 수 있는데, 공원, 정원, 그리고 탁 트인 시골을 포함한 많은 녹지 공간을 제공하도록 설계하였다. 이것은 건강한 생활 방식을 촉진하고 주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세번째로 자급자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전원도시 내에서 그들의 산업과 서비스 등 대부분을 자급자족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다른 용무나 쇼핑 등으로 다른 인근 도시로의 이동을 줄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혼합 토지 사용을 이야기할 수 있다. 전원도시에서의 토지는 하나의 기능이 아닌 주거, 상업, 산업 등 다양한 토지 용도를 포함함으로써 균형 잡힌 공동체를 만들고 도시 스프롤 현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CH 02. 전원도시(Garden city)의 장단점
장점
하워드의 전원도시 계획은 분산을 통한 도심 혼잡 감소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는 보다 넓게 펼쳐진 녹색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도시의 혼잡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이것은 더 나은 공기 질, 소음 공해 감소, 그리고 더 편안한 생활 방식을 가져온다. 또한, 이러한 녹지는 자연에 대한 접근성을 높게 가져온다. 도시의 디자인에 녹색 공간과 공원을 통합함으로써, 하워드는 주민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전원도시 계획은 도시 내 주민 간 결속과 소통 등을 중시하여 이를 기반으로 계획됨으로써 더 밀접하게 연결된 공동체를 만들어 사회적 결속력을 증진하기 위해 고안되었고 이것은 더 강한 공동체 의식과 더 큰 소속감을 가져온다.
단점
하워드의 전원도시 계획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다양성 부족을 크게 꼽고 있다. 이는 전원 도시계획의 개성이 부족하고 타 도시와의 차별점이 없는 비슷비슷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자급자족을 목표로 세워진 계획임에 따라 높은 발전 및 도시의 확대를 제한한다고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따라서 더 큰 도시와 같은 수준의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것은 주민들이 일자리를 찾거나 사업을 시작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지역을 제공 및 찾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데서 현실 가능성을 두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CH03. 현대 도시에 미친 영향
하워드의 전원 도시계획은 현대 도시에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이 운동의 창시자인 하워드는 도시들이 과밀하고, 건강하지 않으며, 오염되어 있다고 믿었다. 그는 도시와 시골의 이점을 결합한 새로운 유형의 도시를 제안했고, 그 도시를 "전원도시"라고 불렀다
전원 도시계획은 세 가지 기초 계획을 기반으로 계획되었다. 제한된 크기와 그린벨트, 그리고 분산이 그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제한된 크기는 전원도시의 인구 과밀과 도시화의 부정적인 영향을 막기 위해서는 크기의 제한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여 제창되었고, 그린벨트는 도시의 식량을 제공하고, 도시와 주변 시골 사이의 완충지대 역할을 해 줄 그린벨트의 필요성을 말하였다.
하워드는 전원도시는 효율적인 교통망으로 연결된 작은 위성 도시와 마을로 분산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것은 크고 널찍한 도시의 성장을 막고, 사람들이 자연과 더 가까운 곳에서 살고 일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하워드의 가든 시티 운동이 현대 도시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첫 번째로 구역 설정 및 토지 이용계획을 이야기할 수 있다. 도시 주변의 그린벨트에 대한 하워드의 개념은 현대적인 구역제와 토지 이용 계획에 영감을 주었다. 많은 도시는 현재 특정 지역의 개발량을 제한하고 개발자들이 녹지 공간을 확보하도록 요구하는 규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녹색 공간, 지속할 수 있는 농업, 그리고 대중교통에 대한 하워드의 강조는 현대 도시 계획에서 지속이 가능한 개발에 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도시들은 현재 도시화의 환경적 영향을 줄이는 녹색 공간, 도시 농장 및 대중교통 시스템을 설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뉴어바니즘(New Urbanism)운동에 영향을 미쳤는데, 보행할 수 있는 이웃, 혼합 사용 개발 및 대중교통을 강조하였다. 이 운동은 더 살기 좋고, 지속할 수 있으며, 인간 규모의 도시를 만드는 것을 추구한다.
'도시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도시의 특성 (0) | 2023.03.27 |
---|---|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의 도시계획 (0) | 2023.03.24 |
도시계획의 개념과 계획이론 (0) | 2023.03.22 |
아시아의 도시 형성 (0) | 2023.03.21 |
근대도시 (0) | 2023.03.20 |